맨위로가기

사이무라 마사히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이무라 마사히로는 센고쿠 시대의 무장으로, 하리마 다쓰노 성의 성주 아카마쓰 마사히데의 아들로 태어났다. 어린 나이에 가독을 상속받아 오다 노부나가,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섬기며 여러 전투에 참전했다. 임진왜란 당시 조선에 출병하여 강항과 교류하며 조선 문화를 존경하고, 강항의 귀국을 지원했다.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서군에 가담했으나 동군에 항복하여 돗토리 성을 공격한 죄로 할복했다. 강항은 그를 "일본 무장 중 유일하게 사람 마음을 지닌 자"라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카마쓰씨 - 다케다성
    다케다성은 1431년 야마나 소젠이 축성한 일본의 성으로, 교통의 요지였으며,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함락된 후 폐성되었고, 2006년 일본 100대 명성에 선정되어 관광 명소가 되었다.
  • 아카마쓰씨 - 아카마쓰 마사노리
    아카마쓰 마사노리는 무로마치 시대에 가키쓰의 난으로 몰락한 아카마쓰 가문을 재건하고 오닌의 난에서 동군에 가담하여 옛 영지를 회복했으며, 막부 내에서 높은 신임을 얻고 문화에도 기여한 인물이다.
  • 1562년 출생 - 정기룡
    정기룡은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에서 혁혁한 공을 세우고 국방력 강화에 힘쓴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1773년 충의라는 시호를 받았다.
  • 1562년 출생 - 가토 기요마사
    가토 기요마사는 도요토미 히데요시 휘하에서 공을 세워 다이묘가 되었고 임진왜란에 참전했으며,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지지했고 구마모토 번의 내정을 다졌으나, 한국에서는 침략자로 비판받고 일본 내에서도 복잡하게 평가받는 인물이다.
  • 1600년 사망 - 조르다노 브루노
    조르다노 브루노는 16세기 이탈리아 철학자, 수학자, 점성술사, 시인으로서, 혁신적인 무한 우주론과 다원 우주론을 주장하다 가톨릭교회로부터 이단으로 규정되어 화형당했으나, 그의 사상은 후대에 큰 영향을 미치며 사상의 자유의 상징이 되었다.
  • 1600년 사망 - 안코쿠지 에케이
    안코쿠지 에케이는 아키 다케다씨 출신으로 모리 씨의 외교를 담당하며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급부상을 예측하고 귀순을 중재, 이요 국에서 6만 석의 영지를 받았으나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서군에 가담하여 처형당한 승려이자 정치적 수완가이다.
사이무라 마사히로
기본 정보
씨명적송 광수 / 적송 광통
개명 전 이름적송 광영 → 광수 → 광통 → 정광
별명광수, 광영, 광도/광통
다른 이름재촌 미사부로 광영
재촌 좌병위
통칭미사부로, 손지로
신호호와대명신
계명승림원전가옹송운대거사
묘소효고현아사고시 와다야마초 다케다 법수사
돗토리현돗토리시 에비스마치 진교사
관위종5위좌병위좌
씨족용야 적송씨
생애
시대센고쿠 시대 -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출생에이로쿠 5년 (1562년)
사망게이초 5년 10월 28일 (1600년12월 3일)
가족 관계
아버지아카마쓰 마사히데
어머니아카마쓰 하루마사의 딸
형제자매히로사다
스케타카
마사히로
사고노카타 (니조 아키자네 측실)
정실우키타 나오이에의 딸
주요 경력
주군오다 노부나가
도요토미 히데요시 (하치스카 마사카쓰)
히데요시
히데요리

2. 생애

1562년 하리마 다쓰노 성 성주 아카마쓰 마사히데의 아들로 태어났다. 어머니는 아카마쓰 하루마사의 딸이다. 1570년 아버지와 형 아카마쓰 히로사다가 연이어 사망하자 가독을 이었다.

오다 노부나가의 명을 받고 주고쿠 지방을 공략하러 온 하시바 히데요시에게 저항했지만, 결국 항복하고 하치스카 마사카쓰의 휘하에 들어갔다. 이후 고마키·나가쿠테 전투, 규슈 정벌, 오다와라 정벌 등에서 활약하며 다지마 다케다 성 2만 2천여 석의 성주가 되었다. 임진왜란에도 참전했다.

유학자 후지와라 세이카에게 가르침을 받는 등 학문에도 관심을 가졌다. 조선 선비 강항은 《간양록》에서 세이카의 말을 빌려 마사히로를 "일본 무장 가운데 유일하게 사람 마음을 지녔다"고 평가했다. 마사히로는 조선의 《오례의서》와 《군학석채의목》을 구해 단바에 공자묘를 세우고, 조선의 제복과 제관을 본떠 제사를 지냈다고 한다. 강항의 귀국을 지원한 것도 마사히로였다.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서군에 가담하여 호소카와 후지타카의 다나베 성을 공격했다. 그러나 본 전투에서 서군이 패하자, 가메이 고레노리의 설득으로 동군으로 돌아서 미야베 나가후사의 돗토리 성을 공격했다. 이때 돗토리 성 주변 마을을 방화한 죄로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할복을 명받아 돗토리의 신쿄지에서 자결했다. 돗토리 성 공격은 가메이 고레노리의 책략이었다는 설도 있으나, 실행자인 마사히로만 처벌받았다.

사이무라라는 성은 아버지 마사히데 사후 잠시 피난 갔던 곳인 사이무라(才村) 또는 사에무라(佐江村)의 지명에서 따온 것이다.

2. 1. 가독 상속과 오다 노부나가 시대

1570년 아버지와 형 아카마쓰 히로사다가 연이어 사망하자 어린 나이에 가독을 상속했다.[4] 마사히로의 가계는 아카마쓰 요시스케의 가계보다 혈통적으로 적통에 가까웠으나, 세력이 약해져 오다 노부나가에게 복속했다.

1575년 10월 20일, 마사히로는 먼저 항복한 고데라 마사모토, 벳쇼 나가하루와 함께 상경하여 오다 노부나가를 알현하고 충성을 맹세했다. 11월에도 노부나가를 방문하여 태도 등을 헌상했다.

1576년 3월, 모리 가문이 하리마에 침입하자, 마사히로는 이에 따랐으나, 곧 오다 측에 복귀했다. 같은 해 11월 4일, 노부나가가 아즈치에서 상경하여 묘카쿠지에 숙박했는데, 마사히로, 벳쇼 나가하루, 우라가미 무네카게가 상경하여 시종의 인사를 했다.[5]

2. 2. 도요토미 히데요시 시대

1577년, 하시바 히데요시(후일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주고쿠를 공략할 때 참여했다.[5] 하리마 평정 후, 사이무라 마사히로는 이전 영지 회복을 요청했지만, 히데요시는 이를 거절하고 하치스카 마사카쓰의 요리키(与力)로 삼았다.[6]

1582년 2월, 마사카쓰를 따라 빗추 다카마쓰 성 전투에 참가했고,[6] 3월에는 하치스카 부대의 선봉을 맡았다.[6] 1583년 시즈가타케 전투에서는 하치스카 부대의 선봉을 지휘했고, 마사카쓰가 없을 때는 부대 전체를 통솔했다. 1584년 고마키·나가쿠테 전투, 1585년 시코쿠 정벌에서도 하치스카 마사카쓰(혹은 하치스카 이에마사)의 요리키로서 활약했다.[6] 시코쿠 정벌 이후, 하치스카 이에마사아와 1국(17만 3천 석)으로 옮겨 봉해졌지만, 사이무라 마사히로는 단바 다케다 성 성주로 임명되어 히데요시의 직신(直臣)이 되었다.[1]

1587년, 규슈 정벌에 종군했고,[1] 같은 해 우키타 히데이에의 여동생과 결혼했다. 1590년 오다와라 정벌에서는 스루가 누마즈 성을 지켰다. 1592년 임진왜란(분로쿠·게이초의 역) 때는 병사 800명을 이끌고 조선에 건너가 부산성을 지켰다.[1]

2. 3. 임진왜란과 강항과의 교류

임진왜란 당시 사이무라 마사히로는 조선에 출병하여 부산성 수비를 담당했다.[1] 이때 포로로 잡혀 온 조선 선비 강항과 교류하며 그의 귀국을 지원했다. 강항은 《간양록》에서 마사히로를 "일본 무장 중 유일하게 사람 마음을 지닌 자"라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2]

마사히로는 강항에게서 조선의 예법과 문화를 배우고, 공자묘를 세우는 등 조선 문화에 대한 존경심을 보였다. 《간양록》에 따르면, 마사히로는 조선의 《오례의서》와 《군학석채의목》을 얻어 보고 단바의 사읍에 공자묘를 세웠고, 제복(祭服)이며 제관(祭冠)까지 조선의 것을 본떠 틈틈이 그의 부하들과 함께 제를 지냈다고 한다.

강항은 마사히로가 가토 기요마사, 도도 다카토라 등과는 사이가 좋지 않았다고 기록했는데,[9] 이는 당대 일본 내의 정치적, 파벌적 갈등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2. 4. 세키가하라 전투와 죽음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이시다 미쓰나리를 중심으로 하는 서군에 가담하여 호소카와 후지타카의 다나베 성을 공격하였다.[1] 그러나 본 전투에서 서군이 패배하자, 가메이 고레노리의 설득으로 동군에 전향하여 미야베 나가후사의 돗토리 성을 공격하였다.[1] 돗토리 성 공격 당시 성 주변 마을을 불태운 죄로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할복을 명받고 돗토리의 신쿄지에서 자결하였다.[1][7]

돗토리 성 공격은 가메이 고레노리의 책략이었다는 설도 있으나, 실행자인 마사히로만 처벌받았다.

3. 문화적 면모와 평가

사이무라 마사히로는 유학자 후지와라 세이카에게서 한학을 배우는 등 문화적인 면모를 갖추고 있었다.[1] 다케다 성 성주 시절에는 양잠과 칠기 산업을 장려하여 백성들의 존경을 받았다고 한다.[8]

임진왜란 때 포로로 잡혀온 조선의 고관 강항과 교류하며 그의 귀국을 지원했다. 강항은 자신의 저서 《간양록》에서 아카마쓰 마사히로에 대해 "일본의 장관은 모두 도적이지만, 다만 히로미치만이 인간다운 마음을 가지고 있습니다"라고 평가했다.[2] 또한 《간양록》에 따르면, 마사히로는 가토 기요마사, 도도 다카토라 등과는 사이가 좋지 않았다고 한다.[9]

마사히로는 명검 사자왕을 소유하고 있었으나, 할복할 때 도쿠가와 막부에 몰수되었다.[10]

4. 관련 작품

;소설


  • 미즈시마 하지메, 『잔월 - 다케다 성 최후의 성주 아카마쓰 히로히데』(도요 출판)
  • 히사카 마사시, 『장심의 꿈』(분슌 문고)


;영상

  • 군사 칸베에(2014년, 연기: 노이리 토시키)


;논문

  • 와타나베 다이몬, 「아카마쓰 히로히데에 관한 일고찰」(『다이시정 역사자료관 관보』 14호, 2012)

참조

[1] 서적
[2] 뉴스 竹田城の履歴書(50)広秀への思い 今も昔も http://www.asahi.com[...] 2018-09-11
[3] 서적 織田信長総合事典 雄山閣出版
[4] 문서 赤松政則の婿養子となった赤松義村の孫で、政広のおじにあたる。
[5] 문서 史料綜覧10編911冊129頁.
[6] 문서 名字「斎村」はこの一時避難していた佐江村(または才村)に由来するという。
[7] 문서 この焼き討ち(焦土戦術)は、政広に寝返りを促して鳥取城攻めの指揮を執っていた亀井茲矩の策であり、実行者の政広一人に罪をなすり付けたとする説が強いと言われている。また、行方知れずだった義兄弟の宇喜多秀家を匿ったという疑惑が囁かれていたのも理由とされる。
[8] 뉴스 「獅子王」の写し刀作成へ 28日から資金募集(リンク切れ) https://www.kobe-np.[...] 2017-02-05
[9] 서적 看羊録 平凡社東洋文庫
[10] 서적 日本刀大百科事典 雄山閣出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